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골프칼럼] <2193> 10% 더하고 뺄 줄 알아야 3펏 없다

그린을 공략하기 위해서는 먼저 그린의 기울기를 확인 후, 규정 타수인 2타에 끝나도록 하는 것이 기본이며 부담 없는 다음 퍼트(putt)를 위하여 볼을 떨굴 위치 확보에 만전을 기해야 한다.     그러나 확보한 볼 위치가 퍼트를 하는데 심리적 부담이 있다면 최종 샷 그 자체가 실수한 것이나 다름없다. 깃발(pin)을 향해 샷을 할 때 그린의 특징을 파악해야 하는데 대다수 골퍼들은 볼 위치로부터 그린까지의 거리와 클럽선택에만 신경을 곤두세운다.     ‘몇 야드 남았으니 몇 번으로 친다’라는 단순한 생각뿐 구체적인 그린 공략을 잊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얼핏 보면 골프장 그린의 대부분은 완만해 보이지만 경사가 많고, 앞쪽보다는 뒤쪽이 높다. 따라서 나머지 거리와 클럽 선택도 중요하지만 다음 퍼트에 유리한 장소를 찾는 것이 다음 공략의 관건이다.     그린을 목표로 하는 샷은 일단 그린에 올려놓기만 해도 성공이라 할 수 있겠으나 이왕이면 부담 없는 지점을 찾는데 노력해야 한다.     핀(pin) 뒤쪽에서 내리막 퍼트나 오른쪽으로 볼이 휘는 슬라이스 라인과 왼쪽으로 꺾이는 훅라인 퍼트는 피하는 것이 그린 공략의 최우선 과제이다.     또 핀을 공략할 때는 낮은 곳에서 높은 곳을 향하는 것이 정석이다. 이를 위해선 그린을 향하는 최종 샷 지점에서 거리나 클럽 선택을 결정한 후 다음 단계인 거리를 가감하는 산출 습관이 필요하다.     예를 들면 최종 샷 지점에서 그린 앞(front of the edge)까지 100야드이고, 핀은 130야드 지점인 중앙에 꽂혀 있고 핀 뒤쪽이 높다면 약 10% 가감해 샷을 해야 한다. 10%를 가감해야 핀을 지나치지 않아 다운힐(down-hill) 퍼트나 훅라인과 슬라이스 라인 퍼트를 원천적으로 봉쇄할 수 있다는 뜻이다.     반대로 그린 앞쪽이 높고 뒤쪽이 낮다면 그린에 떨어져 핀을 지나 구르는 거리를 더 해야 한다.  10%를 더해야 오르막(up-hill) 퍼트를 만들 수 있다.       이같이 고정관념에서 벗어나 새로운 방법으로 도전해 보면 무리한 스윙도 없어지고 18홀이 끝나면 카드에 기록된 점수에 만족하게 될 것이다.     처음으로 가는 코스는 물론, 그린의 경사도를 알고 있는 코스일지라도 샷하기 전 핀의 위치와 그린의 경사도 확인에 만전을 기해야 한다. 대다수의 골프장 카드에는 그린 기울기가 명시되어 있지만 만약 안내서가 없다면 골프장 프로샾에서 판매하는 코스 맵(course map)을 구입해 참고하면 된다.         일반적으로 10야드를 가감하는 방법은 한 클럽을 내려 잡거나 올려 잡음으로 해결할 수 있지만 5야드씩 가감하는 샷도 알아야 한다.     자신의 7번 아이언이 평상시 140야드가 나간다면 135야드 거리를 내기 위함이나 스윙 크기로 조절하는 방법은 피해야 한다. 즉 일정한 거리 산출이 불가능 하다는 뜻이다.     따라서 정확한 산출 방법은 그립에서 만들어져야 한다. 7번 아이언으로 풀그립(full-grip)과 풀 스윙을 했을 때 140야드이다.     그러면 그립의 중간 정도를 쥐고 풀 스윙을 한다면 거리는 5야드가 짧아진다. 반대로 5야드를 더 보내기 위해서는 6번 아이언의 중간 그립 정도가 적합할 것이다.   개인마다 차이는 있으나 위에서 설명한 방법을 기준으로 연습, 실전에 응용해보면 그 느낌을 찾을 수 있다.     ThePar.com 에서 본 칼럼과 동영상, 박윤숙과 동아리골프도 함께할 수 있습니다. 박윤숙 / Stanton University 학장골프칼럼 공략 거리 산출 내리막 퍼트 산출 방법

2022-04-25

[골프칼럼] <2188> 오른손목 각도가 정확도·거리 산출

볼이 있는 곳으로부터 홀(cup)까지의 거리가 멀고 그린 면의 경사도 원만한 편이라면 경사가 심할 때보다 클럽선택에 망설임이 따른다.     퍼터(putter)로 할 것인가 피칭웨지, 아니면 샌드웨지를 선택할 것인가에 혼란이 생긴다. 특별한 테크닉이 있거나 클럽을 자유자재로 다룰 수 있다면 별문제 없지만 확실한 어프로치 방법을 모른다면 당연히 망설여질 것이다.     물기가 있는 그린이라면 볼이 구르지 않아 러닝 어프로치(running approach)가 불가능하고 건조한 상태라면 볼을 띄우는 것보다 굴리는 것이 유리하며 때로는 퍼터를 사용하는 지혜도 필요하다.     어떠한 샷이라도 일직선으로 치는 것이 정석이지만 상황에 따라 띄우거나 굴리는 두 방법 중 하나를 선택하고 거리산출에 신경 써야 한다.     그린 주변에서 어프로치를 실행할 때 뒤땅(fat shot)을 치거나 탑핑(topping)이 발생하는 대부분의 실수는 오른손을 강하게 사용할 때 생겨난다.     오른손에 의존하여 다운스윙 스피드를 컨트롤(control)하면 그 순간부터 타이밍을 놓쳐 엉뚱한 샷이 되고 만다.     따라서 20야드 이내의 홀(cup)을 향한 그린 주변의 어프로치는 양어깨와 팔, 그리고 그립을 잡고 있는 양손의 형태가 영문 소문자‘y’구도를 이뤄야 정교한 스윙은 물론 정확한 거리 산출이 가능하다.     이 ‘y’구도는 어드레스(set-up)부터 볼을 치는 순간과 팔로스루(follow through)까지 흐트러짐 없이 지키며 스윙을 끝내야 한다.  그리고 다운스윙으로 내려지는 순간부터 왼손이 클럽헤드보다 목표 방향을 향해 앞서 나가야 뒤 땅치기를 방지함과 동시에 방향성을 보장받을 수 있다.     그러나 볼을 굴리기 위해서는 어드레스 때 중앙보다 오른발 쪽에 볼이 있어야 굴리기 쉽다. 즉 오른발 뒤꿈치 선상에 볼이 놓이면 낮은 탄도에 구름이 매끄러워진다.     볼을 굴리기 위해서 사용할 클럽은 피칭웨지나 샌드웨지를 제외한 어떤 클럽을 사용해도 무방하며 때에 따라선, 드라이버를 사용할 수 있는 용기도 있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클럽은 8번이나 9번 아이언을 주로 많이 사용하지만, 뒤땅치기나 볼 위를 클럽 날(edge)로 치는 이른바 탑핑 샷이 많이 발생한다면 다음과 같은 연습방법이 효과적이다.     그립을 쥘 때 양손이 합쳐지지 않고, 양손을 완전히 분리하여 그립을 쥐고 연습하는 방법이다. 왼손 그립은 평소와 같은 방법이고 오른손은 왼손으로부터 완전히 분리하여 약 2~3인치 왼손보다 아래서 오른손으로 그립을 쥔다.     이때 오른손을 쥐는 방법 역시 평상시와 같은 방으로 쥐지만 그립이 오른손의 손바닥에 완전히 밀착되어 가볍게 쥐어야 한다.     그립이 완성되면 평상시와 같이 연습하되 오픈스탠스, 그리고 볼을 치면서 스윙이 끝날 때까지 오른손의 손목 각도가 변하지 않아야 한다.     만약 볼을 치면서 뒤땅을 치거나 탑핑이 발생하면 오른손 손목을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스윙이 끝날 때까지 원래의 손목 각도를 절대 유지한 채 스윙이 끝나도록 각별한 관심이 필요하다.  이 연습은 20야드 이내의 숏 게임에서만 가능하고 그 이상의 거리에서는 삼가 해야 한다.     ThePar.com 에서 본 칼럼과 동영상 등 박윤숙 골프에 관한 모든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박윤숙 / Stanton University 학장골프칼럼 오른손목 정확도 오른손목 각도 거리 산출 왼손 그립

2022-03-21

[골프칼럼] <2183> 양손이 눈 높이를 벗어나지 말아야

드라이빙 티샷(tee shot)은 멀리 정확하게(far and sure), 짧은 거리의 어프로치(approach)샷은 정확한 비 거리(sure and distance)가 생명이다.     황홀한 티샷에도 불구하고 두 번째 샷의 거리 산출이 잘못되거나 실수로 인하여 거리가 짧아 그린으로부터 30 내지 50야드 이내의 거리가 남았을 때 클럽 선택에 어려움이 따른다.       이 같은 상황에서 대부분의 실수는 뒤 땅을 치는 것으로 그린 앞, 해저드(water hazer)나 벙커에(sand trap) 넣거나 탑핑(topping)이 발생하여 볼을 그린 뒤쪽으로 훌쩍 넘겨버리는 상황도 자주 발생한다.     골프코스에서 거리 산출이 가장 어려울 때가 풀 스윙(full swing)이나 하프 스윙(half swing)도 아닌, 애매모호한 거리를 남겨두었을 때이다.     주로 30~50야드 이내의 거리는 힘의 조절로 치기도 어렵지만 스윙의 크기로 조절하기도 매우 까다롭다.     물론 연습량이 많고 골프코스를 자주 찾는다면 그 감각이 살아있어 불편함이 없을 수도 있지만 1주일만 연습이 없어도 그 감각을 잃는 경우가 많다.     이때 실수하는 샷들의 대부분은 탑 스윙(top swing)에서 다운 스윙(down swing)으로 이어지며 클럽으로 볼을 치는 순간 양손의 힘으로 강약을 조절해 샷을 망치고 만다.     골프에서 한 달 간 연습이 없으면 날아가던 새도 이를 알고, 2주 동안 연습이 없었다면 같이 라운드(round)하는 파트너들이 감지하고, 1주일 연습을 못했다면 스윙 템포와 리듬이 끊어진다는 좋은 골프 격언도 있다.     이 같이 스윙의 생명은 리듬과 템포에 있다. 골프 스윙은 흐름과 율동이 조화를 이뤄야 부드러움이 생겨나 이 부드러움이 스윙 궤도와 속도를 만들어 일정한 비 거리를 산출해 낸다.     바꿔 말하면 들쭉날쭉 한 비 거리는 어프로치 샷 뿐만 아니라 드라이버와 아이언샷, 심지어 퍼팅에서도 나타난다.     따라서 짧은 거리가 남았다면 일정한 힘으로 그립을 쥐는 것은 물론, 백 스윙의 크기와 스윙의 종점인 피니시(finish)높이가 같아야 비 거리와 스윙의 오류도 함께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어프로치의 피니시는 눈 높이에 맞춰야” 한다.     즉 30~50야드의 비 거리 때는 자신의 양손이 눈 높이를 벗어나지 말아야 한다는 뜻으로 높은 백 스윙과 피니시를 삼가야 한다는 뜻이다.     높은 백 스윙과 피니시는 거리를 조절할 수도 없을 뿐더러 방향성이 난무해, 가능하다면 스윙 중에 자신의 양손이 시선을 벗어나지 말아야 한다.     예를 들면, 백 스윙의 높이가 허리 높이까지 올렸다면 당연히 팔로 스루(follow through)를 지나 피니시로 진입할 때 그 높이 역시 왼쪽 허리를 넘지 말아야 의도한 비 거리를 얻을 수 있다는 뜻이다.     ThePar.com 에서 본 칼럼과 동영상 등 박윤숙골프에 관한 모든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박윤숙 / Stanton University 학장골프칼럼 양손 어프로치 거리 산출 스윙 템포 하프 스윙

2022-02-07

[골프칼럼] <2171> 백스윙과 피니시의 가상 종점 활용해야

올바른 방향을 잡아 주거나 거리조절기만 몸에 부착할 수 있다면 골프가 즐겁고 고민거리의 절반도 줄일 수 있겠지만 이러한 기기가 생겨난다면 오묘한 골프의 참 맛은 없을 것이다.     골프코스에서 고민들은 애매모호한 거리 측정, 예를 들면 7번 아이언 거리도 아니고 6번도 아닌 중간 거리에 들어서면 비 거리에 대한 갈등은 심해진다.     이 같은 스윙이 어렵다고 생각하는 이유는 거리감과 방향성을 들 수 있고 특히 그린 앞에 연못이나 벙커가 있다면 그 고민은 한층 더하다.     이쯤 되면 방향성은 접어두고, 거리 조절에 온 신경을 집중하지만 손에 힘이 들어가 ‘더ㅂ서ㄱ’ 뒤 땅을 찍거나 다운 스윙 속도를 조절하다 볼 윗 부분(topping)을 쳐 그린을 넘기고 만다.     어설픈 스윙으로 거리 조절을 잘하는 골퍼가 있는 반면 깔끔한 스윙과 호쾌한 장타로 게임을 주도하지만 거리 조절에 미숙한 골퍼도 있다.     실제로 아이언이나 우드를 연습하며 구질에만 신경을 쓸 뿐 거리 산출 연습에 미흡한 것이 골퍼들의 현실이다. 또한 정확한 거리 산출을 표시한 골프장도 흔치는 않다.     컨트롤 스윙(control swing), 즉 가감(加減) 스윙의 실수는 백 스윙을 크게 하고, 다운 스윙과 임팩트에서 힘을 조절하거나 혹은 백 스윙은 작게, 볼을 치는 힘의 강약에 의존하는 이른바 손 힘 조절이 샷을 망치고 만다.     이 같은 방법들은 볼을 칠 때 마다 리듬과 템포, 몸의 컨디션에 따라 일정한 느낌이 없어 거리감과 방향성이 시시각각으로 변한다.     거리 측정의 첫째는 육안의 느낌, 둘째는 백 스윙과 다운 스윙의 속도, 즉 일정한 리듬과 템포에 의해 만들어져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먼저 자신의 신체 부위 마다 수치를 그려 넣는 방법이다. 대충 이 정도 높이면 몇 야드 정도라는 안일한 방법보다는 자신의 몸을 최대로 활용하는 방법이다.     자신의 몸에 거리 조절에 필요한 자를 그려 넣는 것이다. 예를 들면 백 스윙 때 양손의 높이가 오른쪽 가슴이나 귀의 높이라면 피니시(finish) 역시 왼쪽 가슴과 귀 높이에서 끝내는 것을 의미한다.     이 같이 자신의 몸에 자를 그려 넣으면 비 거리에 대한 공식이 생겨 체공 거리(carry distance)를 알 수 있어 어림잡은 거리 산출보다는 확실한 비 거리를 산출해 낼 수 있다.     다시 말해 평소 100%의 속도와 힘을 갖고 스윙 한다면 20%를 뺀 80%의 운동량과 그 높이를 기준으로 스윙하면 정확한 거리 산출을 돕는다.     또한 모든 스윙이 같은 리듬과 템포에 의해서 연출되는 것이 우선이지만 컨트롤 스윙은 일반 스윙과는 다르게 강한 샷이 필요치 않아 무리하게 몸 전체를 사용하지 말아야 한다.     드라이버는 넓은 페어웨이의 일부를 목표로 설정하지만 아이언은 목표가 뚜렷하고 정확한 비 거리 산출이 절대 필요하여 이에 대응하는 생각 또한 명확해야 한다.     연습 방법은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백 스윙과 피니시(finish)의 높이인 ‘가상종점’을 설정한 후 똑같은 리듬과 템포에 의해 연습해 보면 자신만의 독특한 거리가 생겨날 것이다.       ThePar.com에서 본 칼럼과 동영상 등 박윤숙골프에 관한 모든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박윤숙 / Stanton University 학장골프칼럼 백스윙 피니시 거리 조절 거리 산출 다운 스윙

2021-11-08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